아마존 CEO "일부 판매자, 소비자에 관세 비용 전가할 수도"
CNBC 인터뷰…"일부 품목은 재고 선제 확보…가격 낮게 유지 위해 최선"
연례 주주 서한 '관료주의 해소' 강조…"가장 큰 스타트업처럼 운영"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태종 특파원 =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 최고경영자(CEO) 앤디 재시는 1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 영향과 관련해 "지금은 매우 유동적인 상황이어서 앞으로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재시 CEO는 이날 미 경제 전문 방송 CNBC 인터뷰에서 교역국을 상대로 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 "소비자와 고객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요소를 살펴보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지난주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소비자 행동에서 특별한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며 "아직 행동 변화가 나타나기에는 이르다"고 전했다.
그러면서도 "일부 제품에 대해서는 사전 구매 현상이 보이기도 했는데, 아직 며칠밖에 지나지 않아 단순한 데이터의 일시적 특이 현상인지, 지속될 현상인지는 판단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으나 기본관세 10%와 품목별 관세는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재시 CEO는 관세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부 제품은) 선제적으로 재고를 확보했다"며 "우리는 제품 가격을 낮게 유지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다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일부 온라인 판매자들이 관세 부담을 소비자에게 전가할 수 있다"며 가격 인상 가능성을 열어뒀다.
아마존의 제3자 마켓플레이스는 수백만 명의 판매자로 구성돼 있으며 이들은 현재 아마존에서 판매되는 전체 상품의 약 60%를 판매하고 있다. 이들 상당 수는 중국에 기반하거나 그 지역에서 제품을 조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9일 대부분의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유예하면서도 관세부과에 대해 보복조치로 맞서고 있는 중국에 대해서는 상호관세를 인상했다. 트럼프 행정부 2기 출범 이후 중국산 제품에 부과된 관세는 145%에 달한다.
재시 CEO는 "우리는 정부에 (관세 정책으로 인한) 우려 사항을 전달했으며, 당국도 이를 인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는 아울러 관세가 인공지능(AI) 투자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도 말했다. 세계 최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인 아마존은 올해 AI 기술에 최대 1천억 달러를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재시 CEO는 아마존웹서비스(AWS)가 약 5년 전부터 공급망 다변화를 시작했으며, 현재 한 국가에만 의존하지 않고 여러 시장에서 부품을 조달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는 새로운 데이터 센터 구축 계획을 늦출 계획은 전혀 없다"며 계속해서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날 주주들에게 보낸 연례 서한에서는 "아마존은 세계에서 가장 큰 스타트업처럼 운영돼야 한다"며 대외적으로는 AI 수요에 대응하고, 내부적으로는 관료주의 해소에 주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창의적인 사람들은 관료주의를 싫어한다"면서 "관료주의는 그들을 느리게 하고, 좌절시키며 자신이 이곳에 온 본래 목적을 잊게 만든다. 조직 내 깊숙이 숨어 있는 관료주의를 발견했을 때는 반드시 없애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헬스케어 분야의 혁신을 언급하며, '아마존 파머시'와 '아마존 원 메디컬' 서비스를 빠르게 개선하고 확장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中 관련 비즈니스 거의 중단…145% 관세, 美중소기업에 직격탄"
![[마켓뷰] 트럼프 관세 후퇴?…코스피 반도체 품목관세에 촉각](https://img8.yna.co.kr/photo/cms/2025/04/11/17/PCM20250411000017990_P4.jpg?thumbnail)
[마켓뷰] 트럼프 관세 후퇴?…코스피 반도체 품목관세에 촉각

현대차證 "하나투어, 1분기 대폭 감익 예상…조기대선도 악영향"

하나증권 "대한항공, 미중 관세전쟁에 화물매출 타격…목표가↓"

CU, 편의점 최초 '내일도착 보장' 택배 서비스 출시

분양시장에 봄바람 불까…4~5월 10대 건설사 2만1천여가구 분양

정부, 美에 "한국산 구리 수입제한시 韓배터리사 대미투자 차질"

전자제품 관세 혼란에 트럼프 직접 나서 "면제아니다" 진화 시도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리얼미터]](https://img8.yna.co.kr/photo/cms/2025/04/11/60/PCM20250411000060990_P4.jpg?thumbnail)
이재명 48.8%…김문수 10.9%, 한덕수 8.6%, 한동훈 6.2%[리얼미터]
![[인터뷰] 한동훈 "제가 이재명 이기는 선택…보수지지자에 확신 드릴 것"](https://img7.yna.co.kr/etc/inner/KR/2025/04/13/AKR20250413037800001_01_i_P4.jpg?thumbnail)
[인터뷰] 한동훈 "제가 이재명 이기는 선택…보수지지자에 확신 드릴 것"

파면 열흘 만에 형사법정 서는 尹…내란 혐의 첫 정식재판

트럼프 "타국서 최첨단 선박 살 수도"…韓 조선업계에 호재되나

美워싱턴 레이건공항서 의원들 탄 여객기 접촉사고…사상자 없어

美재무, 주식시장 다시 급락했는데도 "특이 동향은 없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