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풋’에 국내 증시 환호…코스피·코스닥 6% 반등

미국이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겠다는 소식에 국내 증시가 6% 안팎으로 수직 상승했다. 시장에서 기대했던 이른바 ‘트럼프 풋(Put)’이 나오면서 코스피에 이어 코스닥시장에서도 프로그램매매 매수호가 효력정지(사이드카)가 발동됐다.
10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1.36포인트(6.60%) 상승한 2445.06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1.74% 하락하며 2200선까지 밀렸던 지수는 이날 개장 직후 상승폭을 키우며 4거래일 만에 2400선을 되찾았다.
이날 오전 코스피와 코스닥에서는 매수 사이드카(프로그램 매매 호가 일시효력정지)가 발동됐다. 양 시장에 매수 사이드카가 발동된 건 지난해 8월 6일 이후 8개월 만이다.
간밤 뉴욕증시 3대 주가지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90일간 상호관세 유예’ 발표에 급등했다.
9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2962.86포인트(7.87%) 오른 4만608.45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각각 9.52%, 12.16% 급등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국내 증시에서는 상호관세 우려로 급락했던 반도체, 방산, 전력기기, 휴대폰 부품주 등이 일제히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며 “중국 견제 움직임이 지속되면서 반사수혜 기대감이 유입된 2차전지, 조선 업종 등의 상승폭이 크게 나타났다”고 말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286원, 6846억원을 쌍끌이 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1조847억원을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전기·전자(8.49%), 기계·장비(8.21%), 화학(7.32%), 제조(7.20%0, 보험(6.33%) 등이 일제히 올랐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에는 모두 빨간불이 켜졌다. 특히 SK하이닉스(11.03%)과 LG에너지솔루션(11.31%)이 11%대 급등했다. 삼성전자(6.42%), 삼성바이오로직스(2.72%), 현대차(5.06%), 기아(5.25%), 셀트리온(6.28%), 한화에어로스페이스(7.09%), KB금융(7.05%), NAVER(3.96%) 등도 동반 상승했다.
코스닥 지수는 전일 대비 38.40포인트(5.97%) 오른 681.79에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095억원, 2011억원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홀로 2994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코스닥 시총 상위 10개 종목 가운데 HLB(-0.19%)를 제외한 전 종목이 급등했다. 알테오젠(5.61%), 에코프로비엠(9.29%), 에코프로(9.62%), 레인보우로보틱스(7.02%), 휴젤(7.75%), 클래시스(11.65%), 삼천당제약(6.97%), 파마리서치(8.57%), 리가켐바이오(6.30%) 등이 상승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값은 전일 대비 27.7원 오른 1456.4원에 마감했다.
기자 프로필
댓글
조선뉴스

아마존 CEO "일부 판매자, 소비자에 관세 비용 전가할 수도"

에콰도르, 13일 대선 결선투표…'득표율 0.17%p 차' 라이벌 대결

달러 약세에 유로화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종합)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종합)

애플 주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5% 급락…테슬라 8%↓

EU, 美철강관세 보복 90일 보류…트럼프 '유턴' 다음날 번복(종합2보)

美인태사령관 "주한미군 철수·감축시 北 남침 가능성 커져"(종합)

영·프 주도 우크라 안전보장군 美지원 무응답속 '공전'

친북 정권 물러난 시리아와 수교…유엔 전 회원국과 외교망 완성

한국, 시리아와 외교관계 수립…191개 유엔 회원국 수교 완결

뉴욕증시, 역사적 랠리 이튿날 초반 다시 급락…나스닥 3.6%↓

마크롱 "6월에 팔레스타인 국가 인정 추진"(종합)

백악관 "중국에 대한 합계 관세 125%가 아닌 145%"<美 매체>

뉴욕증시, 기록적 폭등 피로감·깜짝 개선 CPI 무소용…반락 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