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카니 총리 "트럼프, 무례한 발언 중단해야 대화 시작"

'美 51번째주로 병합' 발언 문제삼아…"美에 맞불관세 대응 한계" 인정
[런던 A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뉴욕=연합뉴스) 이지헌 특파원 = 취임 직후 유럽을 순방 중인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17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캐나다를 향해 무례한(disrespectful) 발언을 중단해야 양국 관계에 대한 진지한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카니 총리는 이날 순방지인 영국 런던에서 기자들과 만나 캐나다를 미국의 51번째 주로 병합하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대해 "우리는 이런 발언에 대해 지적해왔다"며 "이는 무례하고, 도움이 되지 않으며, 미국과 폭넓은 파트너십에 관한 대화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중단돼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카니 총리는 집권 여당인 자유당 대표로 선출된 지난 9일 첫 연설에서 "미국이 우리에게 존중을 보여줄 때까지 우리의 (보복) 관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하며 강경한 태도를 견지한 바 있다.
한편 카니 총리는 캐나다가 미국에 '맞불 관세'로 대응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며 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 의지를 강력히 내비쳤다.
그는 "캐나다 경제 규모가 미국의 10분의 1 수준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대일 보복 관세 대응 방식은 한계가 있다"며 미국의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할 때만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와 미국이 통상·안보 관계 전반에서 포괄적인 대화와 협상을 원한다면서 "미국이 그런 대화를 할 준비가 되면 우리는 곧바로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라고 말했다.
쥐스탱 트뤼도 전 캐나다 총리를 '주지사'라고 폄하해 불렀던 트럼프 대통령은 카니 총리의 집권 이후 그에 대해서는 침묵을 유지하고 있다.
카니 총리는 캐나다 중앙은행 총재와 영국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경제통'으로, 당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위협에 대응할 적임자로 급부상해 트뤼도 전 총리에 이어 총리직에 올랐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韓대행, 의대생들에 서한…"더는 주저 말고 돌아와 주길"

뉴욕증시, 자동차 관세 소화·깜짝 개선 실물지표…반등 출발

덴마크 '그린란드 편입 필요' 트럼프에 "억지"

프랑스, 中에 '러 설득' 촉구…中 "유럽 전략적 자주성 지지"

IAEA, 후쿠시마 방류 3차 보고서 공개…"국제기준 부합"

유럽, 미국 車관세 타격에 고심…즉각 보복보단 '협상'

기다리던 단비, 주불 진화엔 역부족…경북산불 역대최악 피해(종합2보)

남미 볼리비아는 '우기' 물난리로 비상…"51명 사망"

뉴욕증시, 자동차 관세 우려에 하락 마감…나스닥 2%↓(종합)

美재무 "우크라에 광물협정 문서 전달…내주 서명되길 희망"

"오픈AI 작년 매출 5조4천억원…올해는 20조원에 육박 예상"
![[속보] 백악관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에도 25% 관세 적용"](https://img3.yna.co.kr/photo/etc/epa/2021/01/10/PEP20210110063701055_P4.jpg?thumbnail)
[속보] 백악관 "엔진 등 자동차 핵심부품에도 25% 관세 적용"

"난 97세지만"…'90세 플러스'가 만드는 아르헨 팟캐스트 인기

NH투자 "화승, 아디다스 성장 따라 순항…목표가 유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