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태국 관세협상 연기…"美, 원산지 관리 강화 요구"

패통탄 태국 총리 "미국이 중요 사안 재검토 요청"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배포 및 판매 금지]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국과 태국의 관세 협상이 연기된 가운데 미국이 중국산 제품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한 원산지 관리 강화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23일 로이터통신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미국이 '중요 사안'을 검토해달라고 요청하면서 관세 협상이 연기됐다고 전날 밝혔다.
그는 관세 조정과 미국산 수입 확대를 포함한 여러 사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지만, 미국이 제기한 문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았다.
애초 미국과 태국의 무역 협상은 23일 시작될 예정이었지만, 새로운 일정은 정해지지 않았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다른 국가 제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한 원산지 관리 강화 조치를 태국에 요구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미국의 고관세를 피하기 위한 중국 상품의 우회 수출 경로로 지목돼왔다.
베트남 정부는 자국을 통한 중국산 상품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불법 환적 등 무역 사기 단속 지침을 마련했다.
대표단을 이끌고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었던 피차이 춘하와치라 태국 부총리 겸 재무부장관은 미국이 환율 조작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기를 원한다고 전했다.
미국은 90일 유예 발표에 앞서 태국에 상호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태국 정부는 36% 관세가 부과되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1%포인트 감소할 수 있다고 우려하며 협상을 준비해왔다.
태국은 미국과의 협상에 앞서 농산물, 에너지, 자동차, 전자제품, 항공기 등 미국산 제품 수입을 늘리기로 했다.
또한 미국산 돼지고기, 소고기, 주류 등에 대한 수입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외국 기업이 미국 관세 회피를 위해 허위 원산지 증명서를 제출하는 행위도 단속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5조1천500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기록했다.
double@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한세예스24재단, 의당학술상 수상자에 조덕 삼성서울병원 교수

에코프로비엠 1분기 영업이익 23억원…작년 동기 대비 66%↓

민주 "韓대행 대미 통상협상, 슈퍼 모럴해저드…국회 보고해야"

이녹스첨단소재 1분기 영업이익 264억원…작년 대비 67.3%↑

K-조선, 호황기 '순풍'에 트럼프 '돛' 달았다…호실적 릴레이

두산밥캣 1분기 영업이익 2천억원…작년 동기 대비 38.6%↓

"중국 선박 입항수수료 부과는 장기적으로 운임 하락 요인"

푸틴 "북한군, 전투에서 적극 역할…김정은 동지에 진심 감사"

산업차관 "한미, 이번 주 작업반 구성…내주 본격회의 개시"

美 미시간대 소비심리 4월 확정치 52.2…잠정치서 소폭 상향

美 전문가 "북한군, 러 파병 통해 지휘통제체제·무기품질 개선"

뉴욕증시, 美中 관세 핑퐁게임·소비심리↓ VS 구글 호실적…혼조 출발

이란 외무, 美와 핵협상 하루 전 오만 도착

"영토 양보하라니…트럼프도 푸틴 같은 악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