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타냐후 저격수' 신베트 국장 해임…이스라엘서 처음

[EPA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이스탄불=연합뉴스) 김동호 특파원 =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불화를 빚은 국내 정보기관 신베트의 로넨 바르 국장이 결국 해임됐다고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이 2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날 오전 이스라엘 총리실은 전날 밤 내각 표결 결과 만장일치로 바르 국장 해임안이 통과됐다고 발표했다. 바르 국장의 임기는 내달 10일까지지만, 그에 앞서 후임자가 임명될 경우 교체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총리실은 설명했다.
타임스오브이스라엘은 "이스라엘 역사상 정부가 국가안보기관 수장을 해임한 것은 최초"라고 전했다.
내각 회의에서 네타냐후 총리는 2023년 10월 7일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기습 공격에 당한 이후 바르 국장에 대한 신뢰를 잃었다며 "그는 조직을 재건할 적임자가 아니다"라고 비판했다.
또 휴전·인질석방 협상팀에서 바르 국장을 제외한 이후 정보 유출이 줄어들고 협상이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주장했다.
바르 국장은 전날 내각 회의에 불참했지만 각료들에게 보낸 서한에서 자신과 해외 정보기관 모사드의 다비드 바르니아 국장을 협상팀에서 배제한 네타냐후 총리의 결정에 대해 "협상팀에 해를 끼쳤으며 석방을 전혀 앞당기지도 못했다"고 반박했다.
그는 최근 신베트가 네타냐후 총리 측근들이 카타르에서 금전을 수수했다는 의혹 수사에 착수한 것을 가리켜 "조사를 완전히 마무리하는 것이 최고의 공적 의무"라고 말했다.
특히 수사 도중 신베트 수장인 자신이 해임된 것은 네타냐후 총리의 개인적, 제도적 이해 상충에 해당한다며 "국가안보에 위험한 일"이라고 주장했다.
바르 국장은 하마스 기습 사태의 책임 소재를 규명할 국가조사위원회가 구성돼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기도 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조사위 구성에 반대한다.
전날 밤 예루살렘의 네타냐후 총리 관저 앞 등지에서는 바르 국장 해임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열렸다. 이스라엘 경찰은 시위대를 향해 물대포를 쏘며 강경 진압했다.
바르 국장은 또 팔레스타인 주민을 자극하는 극우파 각료의 행동을 비판하면서 네타냐후 총리의 눈 밖에 났다.
특히 신베트는 이달 초 펴낸 보고서에서 하마스 기습 허용의 근본적 원인을 네타냐후 내각이 제공했다는 취지로 지적하기도 했다.
신베트는 이 보고서에서 "하마스가 부상하고 공격을 감행하게 된 주된 원인은 하마스가 강화되도록 한 (이스라엘 내각의) 온건 정책, 하마스 군사조직에 대한 카타르의 자금 지원, 이스라엘 정보조직의 침식, (팔레스타인인) 수감자에 대한 처우 등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d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美워싱턴 레이건공항서 의원들 탄 여객기 접촉사고…사상자 없어

美재무, 주식시장 다시 급락했는데도 "특이 동향은 없다"

"EU·중국, 지난달 中전기차 고율관세 폐기 협상 재개하기로"

아마존 CEO "일부 판매자, 소비자에 관세 비용 전가할 수도"

에콰도르, 13일 대선 결선투표…'득표율 0.17%p 차' 라이벌 대결

달러 약세에 유로화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종합)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종합)

애플 주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5% 급락…테슬라 8%↓

EU, 美철강관세 보복 90일 보류…트럼프 '유턴' 다음날 번복(종합2보)

美인태사령관 "주한미군 철수·감축시 北 남침 가능성 커져"(종합)

영·프 주도 우크라 안전보장군 美지원 무응답속 '공전'

친북 정권 물러난 시리아와 수교…유엔 전 회원국과 외교망 완성

한국, 시리아와 외교관계 수립…191개 유엔 회원국 수교 완결

뉴욕증시, 역사적 랠리 이튿날 초반 다시 급락…나스닥 3.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