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내수부진으로 車생산 7위로 하락…올해 美관세로 '사면초가'

KAMA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보경 기자 = 우리나라가 지난해 내수 부진으로 자동차 생산 규모가 세계 7위로 내려앉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10일 발표한 '2024년 세계 자동차 생산 현황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0.5% 감소한 9천395만대로, 2020년 코로나19에 따른 생산 급감(-15.4%) 이후 처음으로 감소 전환한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생산 감소는 도요타, 혼다 등의 품질 인증 문제가 벌어진 일본(-8.5%) 생산 부진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다. 아울러 태국(-20.0%), 스페인(-3.0%), 한국(-2.7%) 등도 생산이 줄었다.
국내 자동차 생산은 전년 대비 2.7% 감소한 413만대를 기록해 글로벌 7위로 순위가 하락했다.
한국은 수출 대수는 증가(0.6%)했지만 내수 판매가 2013년 이후 최저치인 163만5천대(-6.5%)로 떨어지면서 생산 규모가 줄었다.
중국, 미국, 일본, 인도, 독일, 멕시코가 한국보다 상위 생산국에 올랐다. 특히 '톱4' 국가들의 생산은 글로벌 전체 자동차 생산의 59.7%를 차지했다.
중국은 정부 주도의 내수 진작책과 수출 장려 정책이 연계되면서 전년 대비 3.7% 증가한 3천128만대를 생산, 16년 연속 1위를 차지했다.
[KAMA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보고서는 한국의 자동차 산업이 내수 한계와 글로벌 경쟁 심화 등으로 기반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자동차 시장은 잠재 수요가 적어 올해 내수가 전년 대비 회복세를 보이더라도 생산 확대 효과는 크지 않다는 것이 보고서의 주장이다.
또 올해 중국 업계의 세계 시장 지배력 강화와 미국의 관세 부과 가능성은 수출 감소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미국의 관세 정책은 완성차 기업을 포함한 국내 제조 기업들의 해외 생산과 투자 확대를 가속할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우리나라가 이러한 환경 변화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할 경우 경쟁력 약화로 글로벌 '톱10' 생산국에서 밀려날 수 있다며 이는 부품 등 전후방 산업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전했다.
KAMA 관계자는 "미래차 생산 및 설비 투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내수 진작책과 더불어 국내 생산을 촉진·지원하는 '국내생산촉진세제'(가칭) 도입 등 정부의 특단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vivid@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트럼프와 '해빙 무드' 러시아, 새 주적 1순위로 영국 정조준"

태국 방콕 고가도로 건설현장 붕괴…최소 5명 사망

하마스 만났던 '美인질문제 특사' 지명자, 청문회 전 자진사퇴

파키스탄 반군 열차납치 사망자 31명으로 늘어

'트럼프 vs 푸틴' 누가 먼저 굽히나…우크라 휴전 줄다리기

英 '사람 유해 전시·경매 금지' 추진…"이주민 사회에 고통"

'트럼프 리스크' 일단 덮어두고…분열 겨우 피한 G7 외교회의

日언론 "한중일 외교장관 회의 22일 도쿄서 개최"

日방위상, 이시바 C-17 도입 추진에 반기…"원하는 사람 없어"

전황 어떻길래…트럼프 "우크라군 살려달라"·푸틴 "항복하면"

美정부 "바이든정부서 한국, 민감국가 목록 최하위 범주에 추가"(종합)

NBA 보스턴, 11시즌 연속 PO행…클리블랜드는 구단 최다 16연승

정부, 美민감국가 韓포함 확인에 "사안 엄중히 봐…적극 교섭"

중·러·이란 외교차관 회담 개최…"이란 핵문제 의견 교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