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0원대 뉴노멀…1분기 환율 1,450원, 외환위기 후 최고

달러인덱스 하락에도 환율 고공행진…'나홀로' 원화 약세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세종=연합뉴스) 이준서 송정은 기자 =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중반에 고착하면서 외환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환율은 4개월째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1,400원대가 '뉴노멀'로 자리 잡은 모습이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연초부터 지난 14일까지 두 달 반 동안 원/달러 환율(오후 3시30분 종가 기준)은 평균 1,450.7원을 기록했다.
지난주에는 줄곧 1,451~1,458원에서 등락했다.
이달 말까지 남은 11영업일간 100~200원 폭락하지 않는다면 1분기 환율은 1998년 1분기(1,596.9원) 이후로 최고치를 기록하게 된다.
분기 평균환율은 외환위기였던 1997년 4분기 1,151.2원에서 1998년 1분기 1,596.9원으로 치솟았다. 그러다가 같은 해 2~3분기에는 1,300원대로 떨어졌고 4분기에는 1,200원대로 더 낮아졌다.
2000년대 들어 글로벌 금융위기 충격파에 2009년 1분기 1,418.3원으로 다시 1,400원대로 올라섰으나 이후로는 1,100~1,200원대에 머물렀다.
하지만 미국 긴축에 따른 글로벌 강달러 등으로 2022년 3분기부터 1,300원대로 올라섰고, 작년 말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과 비상계엄 사태 등 나라 안팎에서 충격이 이어지면서 1,400원대 중반으로 수직으로 상승했다.
월별로도 지난해 12월(1,436.8원), 1월(1,455.5원), 2월(1,445.6원)에 이어 3월에도 지난 14일까지 평균 1,452.6원을 나타내면서 4개월 연속 1,400원대 중반을 지키고 있다.
환율이 넉 달째 1,400원대를 유지한 것 역시 외환위기 시기 이후로는 처음이다.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처럼 메가톤급 충격파가 없는 상황에서 대내외 악재가 겹치면서 환율 수준 자체가 높아진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서학개미'(개인투자자)들의 대규모 해외투자로 달러가 유출되는 수급 불균형도 환율을 끌어올리는 요인이다. 지난 1~2월에만 내국인의 해외 증권투자로 103억 달러가 유출됐다.
<표> 역대 환율 급등기, 분기평균 원/달러 환율
외환위기 사태 | |
1997년 3분기 | 898.63 |
1997년 4분기 | 1151.23 |
1998년 1분기 | 1596.88 |
1998년 2분기 | 1394.29 |
1998년 3분기 | 1326.36 |
1998년 4분기 | 1277.33 |
글로벌 금융위기 | |
2008년 4분기 | 1364.31 |
2009년 1분기 | 1418.30 |
2009년 2분기 | 1286.11 |
2009년 3분기 | 1239.22 |
2009년 4분기 | 1168.03 |
최근 환율 | |
2024년 1분기 | 1329.40 |
2024년 2분기 | 1371.24 |
2024년 3분기 | 1358.35 |
2024년 4분기 | 1398.75 |
2025년 1분기(1.2~3.14) | 1450.75 |
최근에는 강달러 흐름이 다소 진정되고 다른 주요국 통화 가치가 절상되는 흐름에서도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주요 6개 통화에 대한 달러 가치를 반영하는 달러인덱스(DXY)는 1월 초 110선을 넘기도 했지만, 이후로 하락세를 타면서 103대로 밀린 상태다.
지난 1월 달러당 160엔에 육박했던 엔/달러 환율은 147엔선으로 떨어졌고, 달러/유로 환율도 유로당 1.02달러까지 밀렸다가 3월 들어서는 유로당 1.08~1.09달러까지 반등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국내의 정치적 불확실성 등으로 원화 가치가 평가절하되는 경향이 강한 것으로 보인다"며 "시중금리를 결정짓는 성장세도 1%대 저성장이 예상되면서 원화 가치를 떨어뜨리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jun@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러·우크라, 美중재로 '흑해 휴전' 원칙적 동의…제재 해제 관건(종합3보)

삼양식품 "생산량 증대·제품 다각화로 올해도 도약"

CJ "글로벌 영토 확장으로 그룹 성장성 되찾는 해"
![[게시판] 식약처, AI 의료기기 개발 위한 기계학습 국제 공통 지침 발간](https://img0.yna.co.kr/etc/inner/KR/2025/03/26/AKR20250326044800017_01_i_P4.jpg?thumbnail)
[게시판] 식약처, AI 의료기기 개발 위한 기계학습 국제 공통 지침 발간

삼표산업, '우중 콘크리트 타설 기술'로 기술 인증 획득
![[특징주] 삼성카드, 배당락 영향에 6%대 하락](https://img9.yna.co.kr/etc/inner/KR/2025/03/26/AKR20250326046100008_01_i_P4.jpg?thumbnail)
[특징주] 삼성카드, 배당락 영향에 6%대 하락

중대본부장, 경북 대형산불 현장 점검…"조기 진화에 총력"

日서부 각지서도 산불 확산…주민 수천명에 피난 지시
![[르포] '괴물 산불' 덮친 경북 영양 삼의계곡…전쟁터처럼 파괴됐다](https://img8.yna.co.kr/photo/yna/YH/2025/03/26/PYH2025032601750005300_P4.jpg?thumbnail)
[르포] '괴물 산불' 덮친 경북 영양 삼의계곡…전쟁터처럼 파괴됐다
![[속보] 중대본 "산불사태 사망 18명·중상 6명·경상 13명"](https://img8.yna.co.kr/photo/yna/YH/2025/03/25/PYH2025032519980005700_P4.jpg?thumbnail)
[속보] 중대본 "산불사태 사망 18명·중상 6명·경상 13명"

골드만삭스 "글로벌 보험사, 최대 리스크로 인플레이션 꼽아"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실물이전제 시행후 1조원대 머니무브"

코스피, 강달러·정치 불확실성에 2,610대 하락…자동차주는 강세(종합)

"中선박 美 입항료 부과 시 전세계 선박 98%가 수수료 내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