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커뮤니티 : 조선해외선물 커뮤니티.해외선물.안전거래.주식정보

친북 정권 물러난 시리아와 수교…유엔 전 회원국과 외교망 완성

관리자
2025.04.11 추천 0 조회수 40 댓글 0

北변수 없어진 시리아 과도정부, 한국 수교 타진에 호응…194번째 수교국

이미지 확대

'새로운 봄'을 기대하는 시라이인들

'새로운 봄'을 기대하는 시라이인들

작년 12월 8일(현지시간) 시리아 반군이 내전 13년 만에 승리를 선언한 스웨덴 스톡홀름시티역 광장에서 시리아인들이 환호하고 있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김지연 기자 = 정부가 13년에 걸친 내전을 종식하고 과도정부가 들어선 시리아와 10일(현지시간) 외교관계를 수립하면서 사실상 모든 유엔 회원국과 수교를 맺었다.

작년 12월 친북 성향 바샤르 알아사드 독재 정권이 물러난 틈을 놓치지 않고 신속하게 수교 작업을 밟은 것이 결실을 본 것이다.

유엔 회원국 중 북한을 빼고 유일하게 미수교국으로 남았던 시리아와 외교관계를 맺으면서 작년 쿠바 수교에 이어 외교지평을 확대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북한을 제외한 191개 유엔 회원국과 모두 수교를 맺은 것으로, 교황청, 니우에, 쿡 제도 등 비회원국 3개국을 포함하면 수교국은 194개국에 이른다.

정부는 알아사드 정권 축출로 북한 변수가 제거되자 '때가 됐다'고 판단, 지난 2월 대표단을 시리아로 보내 밑 작업에 나섰다. 한국 정부 대표단이 시리아를 방문한 것은 2003년 이래 22년 만의 일이었다.

당시 한국이 수교 의사를 타진하자 아스아드 알-샤이바니 시리아 과도정부 외교장관은 "새로운 시리아는 한국과 새롭게 양국 관계를 수립하고자 희망한다"며 적극적인 호응 의사를 표했다고 한다.

양국의 의지 속에 수교 준비 작업은 일사천리로 진행됐고, 수교 의사를 타진한 지 불과 두 달여만에 결실을 봤다.

한국이 시리아에 손을 내민 것은 친북 아사드 정권이 물러난 데 따른 자연스러운 수순으로도 볼 수 있다.

시리아는 북한과 1966년 수교한 뒤 반세기 넘게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으나, 과도정부는 아사드 정권이 긴밀한 관계를 맺은 북한이나 러시아와의 관계는 최소화한다는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시리아 주재 북한 대사관 외교관들도 지난해 12월 아사드 정권이 무너진 뒤 전원 탈출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리아 과도정부 입장에서도 실용주의 기조를 취하고 '정상국가' 반열에 올라서려는 상황에서 한국과 수교를 마다할 이유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확대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임시대통령

[시리아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외교부 당국자는 "한국이 웬만한 나라와 수교하는데 (시리아와) 안 한 게 오히려 자연스럽지 않았던 상황"이라며 "아사드 정권이 무너지고 계기가 마련됐으니 특별히 문제 될 소지가 없어진 것"이라고 말했다.

중동 전문가인 인남식 국립외교원 교수는 "대(對) 아랍 외교를 펼치는 과정에 문화적 풍성함을 가진 국가와 수교한다는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 "13년 내전 끝에 나라를 일으켜야 하는 시리아 입장에서 어려운 난국을 극복하면서 발전해온 한국과 손잡길 바라는 마음은 각별하다고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인 교수는 이어 "(시리아로서는) 대외적으로 포용적이고 열린 변화된 모습을 보여주는 차원에서도 한국과 수교는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시리아 측은 수교 협의 과정에서 한국의 그간 인도적 지원에 사의를 표하며 에너지, 통신, 도로 등 인프라와 교육, 보건 등 분야 지원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시리아에 쌀 원조와 보건 분야 지원 등 인도적 도움을 제공할 방침이다. 아울러 향후 재건 시장 진출과 개발협력, 문화교류 등 가능성도 주목하고 있다.

알-샤이바니 와교장관은 한국 측과의 면담 과정에서 한국 드라마에 대한 관심도 표했다는 후문이다.

[email protected]

댓글

조선뉴스

KB증권 "GS건설, 1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전망…목표가↓"

KB증권 "GS건설, 1분기 실적 기대치 하회 전망…목표가↓"

관리자
2025.04.15 08:43
IBK투자 "엔터업종, 앨범판매 역성장 사이클 마무리 국면"

IBK투자 "엔터업종, 앨범판매 역성장 사이클 마무리 국면"

관리자
2025.04.15 08:42
하나증권 "KT&G, 수출 호조·주주환원 확대 기대…목표가↑"

하나증권 "KT&G, 수출 호조·주주환원 확대 기대…목표가↑"

관리자
2025.04.15 08:41
신한투자 "삼성SDI, 1분기가 저점 확인 구간"…목표가 하향

신한투자 "삼성SDI, 1분기가 저점 확인 구간"…목표가 하향

관리자
2025.04.15 08:41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엔비디아 "美서 4년간 700조원 규모 AI 인프라 생산 계획"

관리자
2025.04.15 08:39
애플, 1분기 아이폰 출하량 10% 증가…주가 2%↑, 200달러 회복(종합)

애플, 1분기 아이폰 출하량 10% 증가…주가 2%↑, 200달러 회복(종합)

관리자
2025.04.15 08:38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인터뷰] 홍준표 "정상적인 대선보다 쉬울 수도…이재명 잡을 사람은 나"

관리자
2025.04.15 08:37
유류세, 유가 하락에도 高환율 부담 '딜레마'…내주 결정될 듯

유류세, 유가 하락에도 高환율 부담 '딜레마'…내주 결정될 듯

관리자
2025.04.15 08:36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美재무 "한국과 내주 무역 협상…먼저 합의하는 국가가 유리"(종합2보)

관리자
2025.04.15 08:35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종합)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종합)

관리자
2025.04.15 08:34
美백악관,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우려…모든 옵션 검토 중"

美백악관, 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우려…모든 옵션 검토 중"

관리자
2025.04.15 00:53
대낮 베를린 지하철서 흉기 살인사건

대낮 베를린 지하철서 흉기 살인사건

관리자
2025.04.15 00:53
EU, 美와 관세협상 당일 '보복관세 90일 보류' 확정

EU, 美와 관세협상 당일 '보복관세 90일 보류' 확정

관리자
2025.04.15 00:52
뉴욕증시, 스마트폰·컴퓨터 관세 유보 조치에 고무…급상승 출발

뉴욕증시, 스마트폰·컴퓨터 관세 유보 조치에 고무…급상승 출발

관리자
2025.04.15 00:52
유엔 "미얀마 강진 잔해 트럭 12만5천대 분량"

유엔 "미얀마 강진 잔해 트럭 12만5천대 분량"

관리자
2025.04.15 00:52
1 2 3 4 5
/upload/daad0391badc4e6293463f0184f530e3.webp
/upload/346dde876f0e40029c816e89cae869f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