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BYD 멕시코 공장 건설 승인 지연…'미국에 기술유출 우려'
대미 무역 중요한 멕시코 반응도 걸림돌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중국 최대 전기차 업체인 비야디(BYD)가 멕시코에 자동차 공장을 건설하겠다고 이미 2023년에 발표했지만, 아직 중국 당국으로부터 승인을 받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 사안을 잘 아는 익명의 소식통들을 인용, 중국 당국이 BYD의 첨단 자율주행 기술이 멕시코에 인접한 미국에 유출될 것을 우려해 공장 승인을 주저하고 있다고 19일 보도했다.
BYD는 2023년 멕시코와 브라질, 헝가리,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멕시코 공장의 경우 1만명을 고용해 연간 15만 대를 생산할 계획이었다.
한 소식통은 멕시코에 공장을 세울 경우 BYD의 첨단 기술과 노하우가 이 지역에 무제한으로 노출될 수 있고, 나아가 미국에도 유출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중국 상무부의 가장 큰 걱정은 멕시코와 미국의 근접성"이라고 말했다.
지정학적 역학관계가 급변하면서 멕시코 정부가 미적지근한 반응을 보이는 것도 승인의 걸림돌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멕시코에도 관세를 부과하며 멕시코의 수출과 일자리를 위협했고, 멕시코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려 애쓰는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산 수입품에도 관세를 부과하면서 중국과 무역 전쟁을 시작했고 중국도 미국의 농업 부문을 겨냥해 약 220억 달러 규모의 관세를 부과하며 보복에 나섰다.
미국 정부는 멕시코가 중국산 제품을 미국에 무관세로 들어오게 하는 '뒷문' 역할을 한다며 비난한 바 있다.
멕시코 정부는 이를 부인하면서도 중국산 섬유제품에 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반덤핑 조사도 시작해 미국의 압력에 대응하고 있다.
한 소식통은 "멕시코 정부가 중국 기업에 대해 적대적인 태도를 취하면서 BYD의 공장 건설은 더 어려워졌다"고 말했다.
미국 컨설팅업체 로디움 그룹의 그레고르 세바스찬 수석 애널리스트는 "멕시코 정부는 분명히 (중국으로부터) 투자받기를 원하지만, 미국과의 무역 관계가 훨씬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 지금 시점에서 BYD가 멕시코에 공장 건설을 서두르는 것은 사업적으로 말이 안 된다"면서 "BYD 멕시코 공장은 중국에서 많은 부품을 수입해야 하는데 이는 모두 높은 관세를 맞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美 침체 공포에 코스피도 휘청…장중 1.5% 급락 2,530대 등락

AI·딥시크 전면에 내건 中양회…국가가 돈 풀고 혁신 열어준다

가상화폐 비트코인, 11일만에 다시 8만 달러선 무너져

테슬라 주가 15.4% 폭락…4년반 만에 '최악의 하루'

투자자들은 우크라 종전에 베팅?…금융시장 꿈틀

코스피 美경기 우려 완화에 상승 2,570선 회복…코스닥 하락(종합)

가수 휘성, 자택서 숨진 채 발견…소속사 "비통한 심정"(종합2보)

트럼프는 "과도기"라는데…커지는 미국 경기침체 우려

석방 사흘째 尹대통령, 관저서 '정중동'…탄핵심판·재판 대비

'철도 핵심자재 개발업체 지원' 철도공단, 땡큐 개발센터 운영

대산단지 정전사태 일단락…롯데케미칼 이어 LG화학 생산 재개

'美 원조 중단에 궁지' 탈레반 외무, 오만 방문해 경협 논의

고용보험 가입자 증가폭, 7개월 연속 21년 만에 최저

KDI 석 달째 "경기 하방위험 확대" 진단…건설 부진·수출 둔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