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정훈 '헤레틱' 촬영감독 "휴 그랜트 연기, 찍는 나도 섬뜩해"
美 A24 스릴러 '헤레틱'…"하고 싶은 대로 마음껏 촬영"
"한국 영화 그리워…자리 비워도 내 이름 기억할 때 돌아갈 것"
[스튜디오오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오보람 기자 = 최근 개봉한 스콧 벡·브라이언 우즈 감독의 '헤레틱'은 영국 배우 휴 그랜트의 연기 변신이 돋보이는 영화다.
그는 이 작품에서 자기 집에 찾아온 모르몬교 여성 전도사들을 극단으로 내모는 무신론자 리드 역을 소화했다.
리드는 맹목적인 믿음에 사로잡혀 두 전도사를 끊임없이 시험에 들게 하며 극 전체에 강한 긴장감을 불어넣는다. 해외 평단이 그랜트가 '노팅힐', '브리짓 존스의 일기', '러브 액츄얼리' 등에서 보여준 로맨틱한 이미지를 완전히 탈피했다고 극찬을 한 것은 이 때문이다.
"제가 찍으면서도 섬뜩한 느낌을 받았어요. 참 대단한 배우구나 했지요. 경이로울 정도였습니다."
공포물로 주목받는 미국 독립영화 배급사 A24의 신작 '헤레틱'의 카메라 작업을 책임진 인물은 바로 한국인 정정훈 촬영감독이다.
7일 화상 대화 시스템으로 연합뉴스와 만난 정 촬영감독은 시시각각 변하는 그랜트의 표정 연기를 홀린 듯 봤다며 '헤레틱'을 제작 과정을 들려줬다.
그는 "그랜트가 어떤 대사를 하자 제 뒤에 앉아 있던 동료들이 '미쳤다'며 소리를 질렀다"면서 "영화를 찍으며 스태프들이 그 정도로 감탄사를 터뜨리는 건 저도 처음 봤다"고 돌아봤다.
""(다른 배우들인) 소피 대처, 클로이 이스트를 찍다가 즉흥적으로 카메라를 돌려서 그랜트 쪽을 비췄는데, 자기가 나오는 신이 아닌데도 표정이 살아 있더라고요. 현장에서 그랜트가 흐트러진 모습을 한 번도 본 적이 없어요. 매번 촬영이 끝나면 모든 기력을 다 소진해서 기진맥진해 있었죠."
정 감독이 그랜트와 호흡을 맞춘 건 2023년 개봉한 티모테 샬라메 주연의 뮤지컬 영화 '웡카'에 이어 두 번째다. 그랜트는 '웡카'에선 코믹 캐릭터인 '움파룸파'를 연기했다.
[스튜디오오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 감독은 "'웡카'에서 대부분 모션 캡처(몸에 센서를 부착해 움직임을 디지털로 구현하는 기술)를 썼기 때문에 저와 제대로 영화를 찍은 것은 '헤레틱'이 처음인 셈"이라면서 "그래서인지 촬영 초반엔 저를 그다지 신뢰하는 것 같지는 않았다"며 웃었다.
그러나 촬영이 거듭될수록 신뢰가 쌓였고 시사회에서 만난 정 감독의 두 아이를 안아줄 정도로 친분도 생겼다고 그는 회상했다.
'헤레틱'은 외딴집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을 그린 작품이지만 역동적인 촬영 덕분에 답답한 느낌은 거의 들지 않는다.
정 감독은 카메라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세트장 바닥에 댄스 플로어를 설치하고 여러 각도에서 배우들을 찍었다고 했다.
그는 "영화 속 제3의 전도사가 된 것처럼 찍어보자는 생각으로 이들이 무엇을 느끼는지 따라가려 했다"며 "정해진 테두리를 벗어나 즉흥적으로 움직였는데, 아마 제가 촬영한 영화 중 가장 많이 움직인 영화일 것 같다"고 설명했다.
덕분에 그는 할리우드 진출 후 창의성을 향한 묵은 갈증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었다고 털어놨다.
"미국에서 작업하다 보면 '내가 여기 왜 와 있나' 하고 생각할 때가 있어요. 관객에게 영화라는 콘텐츠를 팔기 위해 만들어진 전형적인 틀을 따라가는 걸 알게 모르게 강요받거든요. '헤레틱'은 제가 하고 싶은 대로 마음껏 해도 누가 뭐라 하지 않았어요."
[스튜디오오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정 감독은 박찬욱 감독의 '스토커'를 계기로 미국 영화계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공포 영화 역대 흥행 1위를 차지한 '그것'(2017)을 비롯해 베네딕트 컴버배치 주연의 '커런트 워'(2019), 제시 아이젠버그·에마 스톤 주연 '좀비랜드: 더블 탭'(2019), 톰 홀랜드 주연 '언차티드'(2022) 등 굵직한 작품에서 카메라를 잡았다.
그는 '올드보이'(2003)부터 '아가씨'(2016)까지 거의 모든 박 감독의 영화를 촬영했지만, 미국 스케줄로 인해 '헤어질 결심'(2022)에는 참여하지 못했다.
정 감독은 "굉장히 아쉽지만, 한편으로는 제가 안 찍기를 잘한 것 같다"면서 "제가 찍었다면 지금의 '헤어질 결심'처럼 나오지 않았을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에선 촬영감독은 촬영만 잘하면 된다는 인식이 강한데, 저는 항상 제 말에 귀를 잘 기울여주는 감독과 일하고 싶다"면서 "한국에서는 그런 분이 박 감독님이었다"고 강조했다.
"한국 영화가 그립기도 해요. 한국 영화 현장에서 느낀 열정을 미국에서 느끼기란 참 어렵더라고요. 하지만 아직 제가 미국에서 자리를 잡았다고 생각하지 않아요. 제가 1∼2년 정도 자리를 비우더라도 제 이름을 기억해줄 때쯤 자유롭게 한국과 미국을 왔다 갔다 하며 작업하고 싶습니다."
[스튜디오오르카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트럼프 "타국서 최첨단 선박 살 수도"…韓 조선업계에 호재되나

美워싱턴 레이건공항서 의원들 탄 여객기 접촉사고…사상자 없어

美재무, 주식시장 다시 급락했는데도 "특이 동향은 없다"

"EU·중국, 지난달 中전기차 고율관세 폐기 협상 재개하기로"

아마존 CEO "일부 판매자, 소비자에 관세 비용 전가할 수도"

에콰도르, 13일 대선 결선투표…'득표율 0.17%p 차' 라이벌 대결

달러 약세에 유로화 1년 9개월 만에 최고치(종합)

기록적 폭등 뉴욕증시 하루만에 3대지수 동반 급락세(종합)

애플 주가, 미·중 관세전쟁 격화로 5% 급락…테슬라 8%↓

EU, 美철강관세 보복 90일 보류…트럼프 '유턴' 다음날 번복(종합2보)

美인태사령관 "주한미군 철수·감축시 北 남침 가능성 커져"(종합)

영·프 주도 우크라 안전보장군 美지원 무응답속 '공전'

친북 정권 물러난 시리아와 수교…유엔 전 회원국과 외교망 완성

한국, 시리아와 외교관계 수립…191개 유엔 회원국 수교 완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