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커뮤니티 : 조선해외선물 커뮤니티.해외선물.안전거래.주식정보

일주일도 안남은 상호관세 발효…각국 '트럼프 달래기' 부심

관리자
2025.04.04 추천 0 조회수 24 댓글 0

FT "EU 車관세 조정, 대중압박 동참 검토…한국은 美수입확대 등 가능 분석"

일본은 협상 계속·추가 회유책 의구심도…인도, 양보안 추가 제시

이미지 확대캄보디아 프놈펜 항구
캄보디아 프놈펜 항구

[AFP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가 세계 각국에 전례 없는 상호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한 후 국가마다 미국을 달랠 방법을 찾느라 부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연설에서 오는 5일부터 거의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가 적용되고, 9일부터는 국가별로 차등 적용되는 상호관세가 적용된다고 밝혔다.

3일 기준으로 상호관세 부과까지 일주일도 채 남지 않은 셈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등 주요 전략적 동맹국을 포함해 미국과의 교역에서 대규모 무역 흑자를 기록한 약 60개국에 최대 50%의 상호관세를 부과했다.

이들 국가는 상호관세가 부과되기 전까지 단기간 내 트럼프 정부의 입장 변화를 끌어낼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 카드를 살펴보고 있다.

미국에 부과하는 관세를 조정하고, 미국산 무기와 자원 거래를 늘리거나, 중국에 대한 압박에 동참하는 등의 방식이 거론된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상호관세율 20%를 부과받은 EU는 자동차 관세를 미국과 같은 2.5% 수준으로 낮추고, 에너지와 무기 구매를 늘리는 방식을 살펴보고 있다. 중국 제품 덤핑에 대한 미국 조치에 동참할 수도 있다.

마로시 셰프초비치 EU 무역·경제안보 집행위원은 4일 미국과 화상 통화를 할 예정이다.

EU 당국자들은 미국이 결국엔 주식시장 하락, 인플레이션 가능성으로 인해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고 있다.

다만 견해차는 여전하다. EU는 부가가치세 제도가 미국 기업을 차별한다는 미국 측 주장을 일축하고, 식품 및 제품 안전 규정 완화 요구도 거부했다.

한 고위 EU 당국자는 "어떤 협상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기준을 낮추지 않는다"며 "누구도 차별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미지 확대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상호관세 부과 발표하는 트럼프 대통령

[AFP 연합뉴스]

25%의 상호관세에 직면한 한국으로선 미국산 LNG와 무기 수입을 늘리고 조선·반도체 등 전략 분야에서 중국의 경쟁자로서의 입지를 활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미경제연구소(KEI)의 경제정책 분석가 톰 라미지는 미국이 글로벌 공급망 협력에서 고립될 수 없는 특정 전략적인 산업이 있다"고 설명했다.

대규모 대미 투자 등을 약속하고서도 24%의 상호관세를 통보받은 일본은 계속해서 미국에 제외를 요청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의구심도 있다. 일본 당국자들은 미국에 제안한 것들이 실패하면서 액화천연가스(LNG) 구매 및 기업 투자 확대 등 추가적인 회유책이 성과를 낼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된다고 말했다고 FT는 전했다.

한 정부 고위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을 첫 임기 때처럼 무역 양보로 달랠 수 있을지 더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

디지털 서비스세를 폐지하는 등 유화책을 제시했으나 상호관세율 26%를 통보받은 인도는 양보안을 추가로 제시했다.

인도는 버번, 오토바이, 고급 자동차, 태양 전지 등 상품에 양보안을 제시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을 선제적으로 달래고자 했다.

각각 46%, 49%라는 상호관세 폭탄을 받아든 베트남과 캄보디아 등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상대적으로 지렛대로 삼을 만한 카드가 명확하지는 않은 사정이다. 다만 의류, 신발, 백색 가전제품 등 저기술 제조품을 대량으로 미국에 공급한다는 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mail protected]

 

댓글

조선뉴스

삼성전자, 무더위 예보에 에어컨 설치 전담팀 조기 운영

삼성전자, 무더위 예보에 에어컨 설치 전담팀 조기 운영

관리자
2025.04.01 08:57
챗GPT부터 AI전화메모까지…서초구 'AI기술로 행정 혁신' 가속

챗GPT부터 AI전화메모까지…서초구 'AI기술로 행정 혁신' 가속

관리자
2025.04.01 08:55
[마켓뷰] 쏟아지는 트럼프 관세 폭탄에 코스피 '시계제로'

[마켓뷰] 쏟아지는 트럼프 관세 폭탄에 코스피 '시계제로'

관리자
2025.04.01 08:52
[게시판] 기아, EV4-무신사 협업 마케팅

[게시판] 기아, EV4-무신사 협업 마케팅

관리자
2025.03.31 09:15
코스피 공매도 재개 첫날 2,510대 하락 출발…코스닥도 내려

코스피 공매도 재개 첫날 2,510대 하락 출발…코스닥도 내려

관리자
2025.03.31 09:14
와이어 제조사 키스트론, 코스닥 상장 추진

와이어 제조사 키스트론, 코스닥 상장 추진

관리자
2025.03.31 09:13
삼성SDI, 국내 첫 46파이 배터리 양산…美고객사 초도 공급

삼성SDI, 국내 첫 46파이 배터리 양산…美고객사 초도 공급

관리자
2025.03.31 09:11
러 "미국과 희토류 협상 개시"…우크라 점령지 광물 넘기나

러 "미국과 희토류 협상 개시"…우크라 점령지 광물 넘기나

관리자
2025.03.31 09:10
팀홀튼, 국내서 가맹사업 나선다…"소비자와 접점 확대"

팀홀튼, 국내서 가맹사업 나선다…"소비자와 접점 확대"

관리자
2025.03.31 09:09
영국 총리, 美 상호관세 앞두고 트럼프와 통화…"생산적 협상"

영국 총리, 美 상호관세 앞두고 트럼프와 통화…"생산적 협상"

관리자
2025.03.31 09:08
한투증권, 카카오뱅크 연계 'RP 거래 서비스' 신설

한투증권, 카카오뱅크 연계 'RP 거래 서비스' 신설

관리자
2025.03.31 09:07
한투증권 "4월 증시 횡보세…코스피 2,450∼2,650 전망"

한투증권 "4월 증시 횡보세…코스피 2,450∼2,650 전망"

관리자
2025.03.31 09:06
[2보] 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건설업 생산 플러스로

[2보] 2월 생산·소비·투자 '트리플' 증가…건설업 생산 플러스로

관리자
2025.03.31 09:05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마켓뷰] "기댈 곳이 없네" 관세·경기우려에 공매도까지 사면초가 코스피

관리자
2025.03.31 09:03
"트럼프, 5월 중순 사우디 방문…집권 2기 첫 순방"

"트럼프, 5월 중순 사우디 방문…집권 2기 첫 순방"

관리자
2025.03.31 09:02
3 4 5 6 7
/upload/daad0391badc4e6293463f0184f530e3.webp
/upload/346dde876f0e40029c816e89cae869f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