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폭풍] 트럼프, 막 나온 무역장벽보고서 흔들며 "미국 해방의 날" 역설
논란의 상호관세 발표 연설서 "착취"·"고통" 거론하며 당위성 주장
자동차 노동자 연단에 불러 '지지·감사 발언' 유도하기도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워싱턴=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현지시간) '관세전쟁'의 하이라이트 격인 상호관세 발표 행사에서 최신 무역장벽 보고서와 상호관세율을 명시한 패널을 '소품'으로, 자신을 지지하는 노동자를 '조연배우'로 각각 내세워 관세의 당위성을 50여분간 역설했다.
이날 오후 4시8분께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성조기들을 배경으로 연설을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인들이여, 오늘은 (미국의) 해방일"이라며 운을 뗐다.
트럼프 대통령은 세계화에 따른 무역 자유화 속에 미국의 철강 근로자, 농민 등이 "정말로 고통받았다"며 "50년 이상 착취당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오늘은 미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날 중 하나"라며 "경제적 독립기념일"이라고 주장했고, 이번 관세로 들어올 세수(稅收), 일자리 등이 "미국을 더 위대하게" 만들고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의 황금기가 돌아오고 있다"고 역설했다.
물가 상승 우려와 함께 관세정책에 대해 반대 여론이 각종 여론조사에서 60% 안팎을 기록하는 상황에서 관세의 당위성을 납득시키기 위해 특유의 미사여구와 과장된 표현을 동원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연설 도중 지난달 31일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한국 등 59개국의 비관세장벽 등을 담아 발간한 '2025 국가별 무역장벽보고서'(NTE 보고서) 책자를 보여주며 "외국의 무역 장벽이 상세히 적혀있는 매우 큰 보고서"라고 칭했다.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인 한국의 월령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 제한, 망 사용료 부과 입법 동향, 무기 대량 구매시 기술이전 등을 요구하는 '절충교역' 등 미국 업계가 한국에 대해 '비관세 장벽'이라고 주장하는 내용들이 총망라되다시피 한 보고서를 이번 상호관세 책정에서 중요하게 참고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었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을 지지하는 자동차 분야 노동자 모임을 설립한 브라이언 판네베커 씨를 연단으로 불러 냈고, 판네베커 씨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100% 지지한다"며 "더할나위 없이 감사한다"고 밝혔다.
과거 민주당 지지성향이 강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2016년과 2024년 대선 승리에 '최대 원군'이 되어 준 러스트벨트(rust belt·미 오대호 인근의 쇠락한 공업지대)의 노동자들에게 이번 관세가 '당신들을 위한 것'이라고 홍보하려는 듯한 '연출'이었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각 국가별 상호관세율을 적시한 패널을 들어 보였는데, 거기에는 '(세계 각국이) 미국에 부과한 관세'와 '미국이 할인해서 책정한 상호관세' 두 항목이 대비돼 있었다.
특히 각국이 미국에 부과한 관세에는 '환율 조작(자국 통화가치 평가절하)과 무역 장벽을 포함한다'고 명시함으로써 대미 관세율에 더해 비관세 장벽을 감안해 각국의 대미 관세율을 계산했음을 분명히 했다.
미국과의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으로서 관세를 대부분 폐지한 한국의 대미관세율을 50%로 책정하고, 25%의 상호관세율을 적용한 것은 한국의 부가가치세와 원/달러 환율 등을 관세에 준하는 것으로 간주했다는 의미로 풀이됐다.
[워싱턴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 해방일', '역사상 가장 중요한 날' 등의 표현을 반복하고 "하나님이 미국을 축복하길(God bless America)"이라고 말하는 것으로 연설을 끝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은 윌 샤프 문서담당 비서관의 안내에 따라 단상 옆에 마련된 책상에서 관세와 관련한 2건의 문서에 서명하며 이날 행사를 마무리했다.
JD 밴스 부통령과 크리스티 놈 국토안보부 장관 등 주요 각료들이 현장에 자리했고, 청중석 곳곳에 트럼프 대통령을 지지하는 노동자들이 안전모를 쓴 채 현장에서 연설을 청취했다.
[워싱턴 EPA=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미, 학생비자 문턱 높인다…"SNS 뒤져 테러옹호하면 발급 거부"

트럼프 "푸틴과 '러의 北무기 구입'에 대해 논의한 적 없다"

트럼프, 상호관세에 "美가 얻을 게 있다면 발표 뒤 협상 가능"

미얀마 강진 사망자 1천명 넘어…부상자 2천376명(종합)

한컴라이프케어, 25억원 규모 산불 진화 안전장비 지원

삼성도 '4족 보행' 경비봇 출시한다…사업화 착수

탈레반 "워싱턴 주재 아프간대사관 통제권 이양 美에 요구했다"

퇴원후 광화문 간 김경수…"尹파면 함성에도 헌재 직무유기"(종합)

네이버, 현대차그룹과 차량용 AI 에이전트 개발

美연준인사들, 관세 인플레 우려…BofA "올해 금리동결 전망"

MS, 업무용 AI 직접 만든다…"챗GPT 보완 능력 구축"

코스피, 장중 낙폭 키워 2,560선 공방…코스닥도 하락폭 확대

韓대행, 의대생들에 서한…"더는 주저 말고 돌아와 주길"

뉴욕증시, 자동차 관세 소화·깜짝 개선 실물지표…반등 출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