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율 상호관세 충격' 동남아, 시행 전 美와 협상 서둘러
베트남, 추가 협상 요구…부총리 방미해 미국산 구입 등 카드 내놓을 듯
태국 "여전히 협상 여지 있어…여러 준비 해와"
지난 2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세계 각국에 대한 상호관세 부과를 발표하는 모습. 2025.04.04 [로이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하노이·방콕=연합뉴스) 박진형 강종훈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에 의해 거의 세계 최고 수준의 상호관세를 부과 받게 되면서 충격에 빠진 동남아시아 각국이 관세 시행에 앞서 미국과 협상을 서두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5일부터 거의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하고, 9일부터는 국가별로 차등해 상호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 상호관세 본격 시행까지 불과 닷새가량 남은 상황이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전날 46%라는 초고율 상호관세가 매겨진 베트남 정부는 관세 부과를 보류하고 추가 협상할 것을 트럼프 행정부에 요청했다.
베트남 산업무역부는 성명에서 응우옌 홍 지엔 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가 가능한 한 일찍 전화 통화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촉구했다.
산업무역부는 미국으로 수출되는 베트남 상품이 주로 미국산 상품이 아닌 다른 나라 상품과 경쟁한다면서 여전히 "논의와 협상의 여지가 있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중순 지엔 장관은 미국을 방문, 그리어 대표와 만나 미국 기업에 대한 무역장벽 제거, 미국산 에너지 구매 등 대미 흑자 축소 방안을 제시했다.
팜 민 찐 베트남 총리도 전날 정부 회의에서 산하 정부 부처에 미 관세 관련 신속 대응팀을 즉시 구성할 것을 주문하면서 대처에 나섰다.
찐 총리는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가 "양국 간 좋은 관계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언급했다. 또 상호관세에도 베트남의 올해 국내총생산(GDP) 8% 성장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고 덧붙였다.
호 득 폭 베트남 부총리도 베트남항공·비엣젯 등 항공사 경영진을 대동하고 이번 주말 미국을 방문하기로 했다.
폭 부총리는 워싱턴DC에서 미국 정부 관리들과 만나 관세 문제 등을 논의하며, 베트남 항공사 경영진은 미국산 여객기 대량 구매 등에 대해 보잉사 등과 협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전날 백악관에서 발표된 베트남의 상호관세율은 46%에 달해 전체 상호관세 대상국 가운데 6번째로 높았다.
특히 유럽연합(EU·20%), 한국(25%), 일본(24%), 인도(26%), 영국(10%) 등 중국을 제외한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 중 압도적으로 가장 높았다.
이에 베트남 재무부는 홈페이지에서 최근 USTR 보고서에 따르면 베트남 관세의 평균 수입세율은 9.4%이고, 베트남으로 수출되는 주요 미국 제품은 15% 이하의 수입세율을 적용받는다고 설명했다.
36%의 상호관세를 얻어맞은 태국 정부도 미국과 협상을 서두르고 있다.
패통탄 친나왓 태국 총리는 전날 미국 발표 이후 "정부는 미국과 협상하기 위해 여러 준비를 해왔다"며 "여전히 협상이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취재진에게 말했다.
그는 태국 정부가 양측에 공평하게 무역 수지를 조정하기 위해 미 행정부와 논의할 준비가 됐음을 미국 측에 알렸다고 설명했다.
패통탄 총리는 또 성명을 통해 "태국은 미국과의 수입 관세 구조를 조정해야 한다"며 "미국과 협상을 위한 실무 그룹이 구성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당국이 미국 발표 관세를 분석하고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관세가 아직 시행되지 않았으므로 협상 여지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태국은 미국이 발표한 관세가 예상보다 높은 수준이지만 차분하게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쭈라판 아몬위왓 재무부 차관은 "공격적 대화가 아니라 이해를 바탕으로 협상해야 한다"며 "미국이 어떤 상품에 대해 불공평하다고 느끼는지 대화하고 조정할 수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으로, 태국은 전체 수출액의 약 18%를 미국으로 수출하며 지난해 미국 상대로 456억 달러(약 66조8천억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말레이시아 정부도 미국의 24% 상호관세 부과에 대응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계획이 없으며 미국 정부와 협상에 나서겠다고 전날 밝혔다.
말레이시아 국제통상산업부는 성명을 통해 "새롭게 부과된 관세를 심각하게 보고 있으며 미국 당국과 적극적으로 소통해 자유롭고 공정한 거래를 지원할 해법을 찾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들 국가를 포함한 동남아 각국 어디도 아직은 미국 상호관세에 맞서는 보복 관세 부과를 언급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인니, 외신기자·연구자 활동 사전허가제…언론자유 침해 논란

'초고율 상호관세 충격' 동남아, 시행 전 美와 협상 서둘러

美관광객, 금지된 원주민 섬 무단 방문했다가 인도 경찰에 체포
![[尹파면] 외신, 헌재 결정 긴급 타전…"한국 민주주의의 중요한 순간"(종합)](https://img2.yna.co.kr/photo/yna/YH/2025/04/04/PYH2025040412920001301_P4.jpg?thumbnail)
[尹파면] 외신, 헌재 결정 긴급 타전…"한국 민주주의의 중요한 순간"(종합)
![[르포] "나쁜결과 초래할것"…관세폭풍에 美소비심리 급랭 조짐](https://img8.yna.co.kr/etc/inner/KR/2025/04/04/AKR20250404036900075_01_i_P4.jpg?thumbnail)
[르포] "나쁜결과 초래할것"…관세폭풍에 美소비심리 급랭 조짐

일주일도 안남은 상호관세 발효…각국 '트럼프 달래기' 부심
![[3보]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헌법수호 의무 저버렸다](https://img4.yna.co.kr/photo/yna/YH/2025/04/04/PYH2025040406750001303_P4.jpg?thumbnail)
[3보] 헌재 전원일치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헌법수호 의무 저버렸다

코스피, 뉴욕증시 폭락에도 낙폭 제한적 2,450대 하락 출발

신한투자 "조선·방산株 관세 무관, 전력기기도 길게보면 괜찮아"
![[마켓뷰] 美증시 폭락·尹탄핵 선고…복잡해지는 코스피 셈법](https://img4.yna.co.kr/photo/yna/YH/2025/04/03/PYH2025040325060001300_P4.jpg?thumbnail)
[마켓뷰] 美증시 폭락·尹탄핵 선고…복잡해지는 코스피 셈법
![[인터뷰] 조태열 "상호관세 협의가능…민감국가 발효전 해제 쉽지 않아"(종합)](https://img6.yna.co.kr/etc/inner/KR/2025/04/04/AKR20250404011151098_01_i_P4.jpg?thumbnail)
[인터뷰] 조태열 "상호관세 협의가능…민감국가 발효전 해제 쉽지 않아"(종합)

軍, 탄핵선고일 대북 감시태세 격상…"북한 오판 방지"
![[속보] 한미일 "에너지·민간 원자로·조선업 협력"](https://img4.yna.co.kr/photo/yna/YH/2025/04/03/PYH2025040325080001300_P4.jpg?thumbnail)
[속보] 한미일 "에너지·민간 원자로·조선업 협력"

트럼프 상호관세, 글로벌 금융시장 '강타'…美증시 최대 타격(종합2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