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커뮤니티 : 조선해외선물 커뮤니티.해외선물.안전거래.주식정보

'5분에 470km' BYD 충전시스템, 전기차 시장 술렁

관리자
2025.03.20 추천 0 조회수 244 댓글 0

"글로벌 업체 몇곳 폐업할 것" 전망도 나와

이미지 확대BYD 차량의 배터리
BYD 차량의 배터리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중국 비야디(BYD)가 5분 충전으로 470km를 주행할 수 있는 급속 충전 시스템을 내놓으면서 전기차 시장이 다시 술렁거리고 있다.

BYD 충전 시스템의 성능이 다른 업체들을 압도하기 때문에 경쟁력이 떨어지는 일부 업체는 사업을 접어야 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BYD가 슈퍼 e-플랫폼이라는 새 충전 시스템을 통해 내연기관 차량만큼 빠르게 전기차 충전을 할 수 있게 됐다면서 업계 경쟁에서 선두로 올라섰다고 19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앞서 BYD의 왕촨푸 회장은 지난달 10일 전 차종에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눈'(天神之眼)을 탑재해 '전 국민 자율주행 시대'를 열겠다고 밝힌 바 있다.

BYD 충전 시스템은 1천kW로 최대 1천 암페어의 용량으로 충전한다. 초당 약 2km의 주행거리를 충전하는 셈이다. 5분 내로 400km의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 기술은 BYD가 안전성과 배터리 수명, 초고속 충전기 설치와 관련 비용 등 업계의 몇 가지 주요한 문제점을 극복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동안 전기차는 내연기관차에 비해 충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장거리 여행 시 주행거리 부족으로 불안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사모펀드 모빌리티 임팩트 파트너스의 샤이 나타라잔 대표는 BYD가 서방 업체들에 비해 더 정교한 배터리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충전 속도가 훨씬 더 빨라졌다"고 말했다.

BYD는 또 고체 전해질 기술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더욱 개선했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 큰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오랜 기간 전기차 분야에서 선두를 유지해온 미국 테슬라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큰 충전 네트워크인 슈퍼차저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지만 이 시스템은 BYD가 발표한 새 시스템 성능에 훨씬 못 미친다. 15분 충전해야 320km의 주행거리를 낼 수 있다.

테슬라 주가는 BYD의 새 충전시스템 발표 이후 5% 이상 급락했다.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최근 고속 충전소를 이용해 10분 이내에 최대 325km까지 충전할 수 있는 새 전기차 모델 CLA 소형 세단을 공개했다.

BMW도 30% 빨리 충전하는 새 배터리를 내놓았지만 10분 충전에 주행거리가 300km 정도다.

중국 내 배터리업체 CATL의 제품 성능이 그나마 나아서 10분 충전에 600km를 주행하는 배터리를 공개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BYD의 경쟁사들이 향후 몇 년 내로 BYD 충전 속도에 따라잡을 것으로 본다.

컨설팅 회사 시노 오토 인사이트의 투 르 설립자는 BYD의 고속 충전 시스템과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압박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BYD는 몇몇 글로벌 업체를 폐업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satw@yna.co.kr

댓글

조선뉴스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관리자
2025.04.09 07:54
머스크 뜻대로?…NASA 국장 후보자 "화성 탐사가 달보다 우선"

머스크 뜻대로?…NASA 국장 후보자 "화성 탐사가 달보다 우선"

관리자
2025.04.09 07:52
트럼프, 석탄 활성화 행정명령…"아름답고 깨끗하고 저렴"

트럼프, 석탄 활성화 행정명령…"아름답고 깨끗하고 저렴"

관리자
2025.04.09 07:51
美, 관세 협상 본격 착수…무역적자 큰 동맹 韓·日에 우선 집중

美, 관세 협상 본격 착수…무역적자 큰 동맹 韓·日에 우선 집중

관리자
2025.04.09 07:49
멀어진 '임대차2법' 개편…전월세 신고제는 유예기간 종료 가닥

멀어진 '임대차2법' 개편…전월세 신고제는 유예기간 종료 가닥

관리자
2025.04.09 07:48
작년 금융사에 부과된 과징금·과태료 439억원…전년도 3배 수준

작년 금융사에 부과된 과징금·과태료 439억원…전년도 3배 수준

관리자
2025.04.09 07:46
애플 주가 또 5% 하락 마감…시가총액 순위 2위로 내려앉아(종합)

애플 주가 또 5% 하락 마감…시가총액 순위 2위로 내려앉아(종합)

관리자
2025.04.09 07:43
대포통장 213개 만들어 보이스피싱 조직에 넘긴 2030 일당 적발(종합)

대포통장 213개 만들어 보이스피싱 조직에 넘긴 2030 일당 적발(종합)

관리자
2025.04.08 11:32
"불필요한 당직 없앤다" 지자체들 AI·무인 경비로 효율화

"불필요한 당직 없앤다" 지자체들 AI·무인 경비로 효율화

관리자
2025.04.08 11:32
누전차단기만 올렸으면…광주시 방음터널조명 방치 '황당행정'

누전차단기만 올렸으면…광주시 방음터널조명 방치 '황당행정'

관리자
2025.04.08 11:31
충북 체류 외국인 유학생 '1만명 시대' 열었다

충북 체류 외국인 유학생 '1만명 시대' 열었다

관리자
2025.04.08 11:31
신생아 학대 간호사 더 있나…대학병원 측 "2명 추가 조사"

신생아 학대 간호사 더 있나…대학병원 측 "2명 추가 조사"

관리자
2025.04.08 11:31
브뤼셀 국제영화제 8일 개막…韓작품 5편 경쟁부문 진출

브뤼셀 국제영화제 8일 개막…韓작품 5편 경쟁부문 진출

관리자
2025.04.08 02:40
정정훈 '헤레틱' 촬영감독 "휴 그랜트 연기, 찍는 나도 섬뜩해"

정정훈 '헤레틱' 촬영감독 "휴 그랜트 연기, 찍는 나도 섬뜩해"

관리자
2025.04.08 02:40
백악관, '트럼프 90일간 관세 일시중단 검토' 보도에 "가짜뉴스"(종합)

백악관, '트럼프 90일간 관세 일시중단 검토' 보도에 "가짜뉴스"(종합)

관리자
2025.04.08 02:39
14 15 16 17 18
/upload/daad0391badc4e6293463f0184f530e3.webp
/upload/346dde876f0e40029c816e89cae869f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