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13만6천명 증가…건설업 10개월 연속 '마이너스'(종합)

두 달 연속 10만명대 취업자 증가…제조업·건설업 '고용 한파' 계속
청년층 쉬었음 50만명 '역대 최대'…고용률 ↓·실업률 ↑

(세종=연합뉴스) 송정은 박재현 기자 = 지난달 취업자가 두 달 연속 1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다만 제조업과 건설업의 일자리가 부진은 계속됐다.
청년층도 취업자 수와 고용률이 감소하고, '쉬었음'이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서는 등 '고용 한파'가 계속됐다.
12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15세 이상 취업자는 2천817만9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과 비교하면 13만6천명 증가했다.
취업자는 지난해 12월 일자리 사업 일시 종료 등 영향으로 5만2천명 감소했다가 지난 1월 13만5천명 늘면서 한 달 만에 증가했다.
제조업에서 취업자가 7만4천명 줄면서 작년 7월 이후 8개월째 감소세가 이어졌다.
건설업 취업자 또한 건설경기 불황 등의 영향으로 16만7천명 감소했다. 10개월 연속 전년 대비 '마이너스'다.
보건업및사회복지서비스업(19만2천명), 전문,과학및기술서비스업(8만명), 정보통신업(6만5천명) 등은 취업자가 늘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보건복지업과 전문과학 정보통신업 등을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세가 지속됐으나 건설업과 제조업의 취업자 감소가 지속됐다"며 "증감 폭은 지난달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에서 34만2천명, 30대에서 11만6천명 취업자가 각각 증가했다.
반면 20대(-22만8천명), 40대(-7만8천명), 50대(-8천명)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 중 상용근로자는 23만3천명, 임시근로자는 3만6천명 각각 증가했지만, 일용근로자는 9만2천명(-10.5%) 감소했다.
비임금근로자 중에서는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가 2만6천명 줄고 '나 홀로 사장'인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는 1만3천명 늘었다.
취업 시간대별로는 36시간 미만 취업자가 929만2천명 감소하고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943만5천명 늘었다. 비교 대상이 되는 지난해 같은 달 조사 주간에 설 연휴가 포함된 영향으로 변동 폭이 커졌다.
15∼64세 고용률은 68.9%로 작년보다 0.2%포인트(p) 상승했다.
다만 15∼29세 청년층의 고용률은 1.7%p 하락하면서 44.3%를 기록했다. 이는 2021년 1월(-2.9%p) 이후 최대 낙폭이다.
실업자는 94만명으로 작년보다 2만5천명 늘었다. 실업률은 3.2%로 동일했다.
청년층 실업자는 5천명 증가, 실업률은 7.0%를 기록했다.
15∼29세 쉬었음 인구는 50만4천명을 기록, 2003년 통계 집계 이후 처음으로 50만명을 넘어섰다.
공미숙 심의관은 "작년 8월 청년층 부가 조사 당시 20대 쉬었음의 주된 이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였다"며 "다음 일을 위해서 쉬고 있다는 이유 등도 높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trauma@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댓글
조선뉴스

"주한미군, 대만 비상 상황시 투입 가능해야…韓, 동의 필요"

트럼프 "4월3일부터 외국산 車에 25% 관세"…관세전쟁 전선 확대(종합2보)

과기정통부, 반도체 3사와 국가 나노팹 '모아팹' 강화 협력

인천시, 대형산불 피해 지역에 재해구호기금 2억원 기탁

코스피, 장 초반 2,610대 하락…코스닥도 1% 내려

이랜드킴스클럽, 델리바이애슐리 500만개 판매…10호점 오픈

루닛·아스트라제네카, 'AI 활용 폐암 변이 예측' 공동연구 발표

애경산업, 중국 기업 신쉔과 라이브커머스 시장 확대나선다

올해 美증시, 기관 대거 팔때 개미는 98조원 샀다

트럼프, '전쟁계획 유출' 안보보좌관 옹호…"왈츠는 좋은 사람"(종합)

iM증권 "원/달러 환율 안정 위해선 과감한 내수 부양책 필요"

中베이징 인근서 오늘 새벽 4.5 지진…"인명 피해 보고 없어"

얼마나 안전하기에…미국 전쟁계획 논의된 메신저 '시그널'

美법원 '親팔 시위' 컬럼비아大 한인학생 추방절차 일시중단(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