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3∼4개 구독시대…2030은 생성형 AI·4060은 가전에 관심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과 성인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소비자 구독 서비스 이용 실태'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은 분석이 나왔다고 19일 밝혔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94.8%가 구독 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다고 답했다.
가장 많이 경험한 구독 서비스(복수 응답)는 동영상 스트리밍(60.8%)이었다. 이어 쇼핑 멤버십(52.4%), 인터넷·TV 결합 상품(45.8%), 음원 및 도서(35.5%), 정수기(33.8%), 외식 배달(32.5%) 순으로 조사됐다.
구독 개수는 1인당 3∼4개(39.8%)가 가장 많았고, 1∼2개(33.9%), 5∼6개(17.2%), 7개 이상(9.1%)이 뒤를 이었다.
월간 구독료는 3만원 미만(30.5%)이 가장 많았고, 15만원이 넘는다는 응답도 14.9%를 차지했다. 이 외에 응답자의 22.9%는 3∼5만원, 22.3%는 5∼10만원, 9.4%는 10∼15만원(9.4%)을 쓴다고 답했다.
세대별 신규 구독하고 싶은 서비스(복수 응답)는 차이가 있었다.
20대가 새롭게 이용하고 싶은 구독 서비스 1위는 생성형 AI(23.0%), 2위는 건강·생활가전(18.0%)이었고, 30대의 경우 1위는 가사 서비스(20.5%), 2위는 생성형 AI(19.5%)였다.
2030 세대를 합산하면 생성형 AI(21.3%)를 신규 구독하고 싶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40∼60대는 구독하고 싶은 서비스로 건강·생활가전을 1위로 꼽았다. 합산 응답률은 25.0%였다.
40대와 60대는 건강·생활가전에 이어 가구(각 21.0%, 20.0%) 구독을 선호했고, 50대는 생성형 AI(20.5%)를 구독하고 싶다고 답했다.
상의는 "학습 및 자기 계발에 관심이 높은 2030 세대와 건강을 중시하는 4060 세대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이 반영된 결과"라며 "과거 콘텐츠 중심의 수요가 높았다면, 지금은 생활밀착형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구독 서비스의 장점(복수 응답)으로는 최신 제품과 서비스 이용(69.9%),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64.9%), 초기 저렴한 비용(58.8%) 등이 있었다.
단점으로는 월정액 관리 부족으로 인한 낭비(77.4%), 해지 어려움(47.2%) 등이 꼽혔다.
글로벌 조사기관 가트너에 따르면 세계 구독경제 시장은 2020년 804조원에서 2025년 1천200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이은철 상의 디지털혁신팀장은 "구독경제 모델은 합리적인 비용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최신 상품을 경험할 수 있어 최근 소비 트렌드에 부합한다"며 "기업들은 소비자 니즈(요구)에 최적화된 구독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writer@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2/19 06:00 송고
댓글
조선뉴스

"삼성 저력 잃었다" 질책한 이재용, 복합위기 타개 고삐 죄나

주담대 변동금리 기준 코픽스, 2년 반 만에 2%대로 하락(종합)

서울 '국민평형' 14억원 넘어…강남3구 평균 20억원 웃돌아

금감원, 디지털 전환…"AI로 불공정 혐의 거래 적출"

넥스트레이드 거래종목 110개로 확대…이마트·LG생활건강 등 추가

미국 증시 조정에 '소비 동력' 부자들도 지갑 닫나

트럼프 "내일 푸틴과 대화…전쟁 끝낼 수 있는지 보길 원해"

尹대통령 '운명의 한 주'…20∼21일께 탄핵심판 선고 전망

故김새론 유족, 유튜버 이진호 고소…"김수현측 법적대응 검토"(종합)

구글, 엔비디아 이어 메타까지…네이버랩스 '공간지능' 주목

1,400원대 뉴노멀…1분기 환율 1,450원, 외환위기 후 최고

북 "핵포기는 G7부터…핵무기 질량적으로 부단히 갱신·강화"

후티, 美 항모에 드론 공격…美 "11개 격추·항모 근처도 못 와"(종합)

대체거래소 거래종목 110개로 확대…이마트·LG생활건강 등 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