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커뮤니티 : 조선해외선물 커뮤니티.해외선물.안전거래.주식정보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고환율·고유가에 3개월 연속 오름세(종합)

관리자
2025.02.05 추천 0 조회수 276 댓글 0

석유류 7.3% 올라 전체 물가 0.27%p 끌어올려…실손보험료도 상승 기여

김 37년만에 최대폭 상승…당근도 8년 만에 가장 크게 올라

 

1월 소비자물가 2.2% 상승…고환율·고유가에 3개월 연속 오름세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민경락 기자 =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석달 연속 높아져서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상승 흐름을 타고 있는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물가를 끌어올리는 주요인이 됐다.

통계청이 5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상승률은 지난해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다.

 

지난해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9월 1%대(1.6%) 진입하고 10월에 1.3%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방향을 바꿔서 11월 1.5%·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석유류가 7.3% 올라 지난해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p) 끌어올렸다.

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상승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1년 전 낮은 수준이던 기저효과도 작용했다고 통계청은 분석했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배경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지난해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고물가에 '장바구니'도 위축…"장보기 횟수 줄이고 싼 것만"

(서울=연합뉴스) 류효림 기자 = 2일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5.2.2 ryousanta@yna.co.kr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김은 35.4% 올라 1987년 11월(42%) 이후 무려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은 감소 폭이 컸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지난해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지난해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과 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이나 기타 원자재에는 다소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은

(세종=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통계청 이두원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이 5일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2025.2.5 scoop@yna.co.kr

2vs2@yna.co.kr

 

 

댓글

조선뉴스

관세전쟁·OPEC+ 증산에 정제마진 강세…정유사 실적 '훈풍'

관세전쟁·OPEC+ 증산에 정제마진 강세…정유사 실적 '훈풍'

관리자
2025.03.13 08:52
관세전쟁 격랑 속 美인플레 우려 완화…뉴욕증시, 나스닥 1.2%↑(종합)

관세전쟁 격랑 속 美인플레 우려 완화…뉴욕증시, 나스닥 1.2%↑(종합)

관리자
2025.03.13 08:50
트럼프 "4월 2일 관세 시작 전까지는 유연성 유지하겠다"(종합)

트럼프 "4월 2일 관세 시작 전까지는 유연성 유지하겠다"(종합)

관리자
2025.03.13 08:49
한투증권 "홈플러스, 레고랜드와 달리 크레딧 시장 영향 제한적"

한투증권 "홈플러스, 레고랜드와 달리 크레딧 시장 영향 제한적"

관리자
2025.03.13 08:47
崔권한대행 "美와 균형잡힌 상호이익관계 추구해 한미동맹 격상"

崔권한대행 "美와 균형잡힌 상호이익관계 추구해 한미동맹 격상"

관리자
2025.03.13 08:37
헌재, 감사원장·중앙지검장 탄핵심판 오늘 선고…소추 98일만

헌재, 감사원장·중앙지검장 탄핵심판 오늘 선고…소추 98일만

관리자
2025.03.13 08:35
한미 공동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우주로 발사

한미 공동개발 우주망원경 '스피어엑스' 우주로 발사

관리자
2025.03.12 13:06
트럼프, 전세계 상대 '관세전쟁' 시작…韓도 처음 대상에 올라

트럼프, 전세계 상대 '관세전쟁' 시작…韓도 처음 대상에 올라

관리자
2025.03.12 13:05
美업계 "韓, 30개월이상 소고기도 수입해야"…상호관세 빌미되나(종합2보)

美업계 "韓, 30개월이상 소고기도 수입해야"…상호관세 빌미되나(종합2보)

관리자
2025.03.12 13:04
푸틴 '평화의 탱고' 응할까…종전 돌파구 열었지만 갈길 먼 협상(종합)

푸틴 '평화의 탱고' 응할까…종전 돌파구 열었지만 갈길 먼 협상(종합)

관리자
2025.03.12 13:04
다자녀 부자일수록 상속세 확 준다…15억 집 물려주면 2억→0원

다자녀 부자일수록 상속세 확 준다…15억 집 물려주면 2억→0원

관리자
2025.03.12 13:03
뉴욕증시, 오락가락 트럼프 관세에 이틀째 하락…다우 1%↓(종합2보)

뉴욕증시, 오락가락 트럼프 관세에 이틀째 하락…다우 1%↓(종합2보)

관리자
2025.03.12 09:01
2월 취업자 13만6천명 증가…건설업 10개월 연속 '마이너스'(종합)

2월 취업자 13만6천명 증가…건설업 10개월 연속 '마이너스'(종합)

관리자
2025.03.12 08:52
IBK투자 "롯데정밀화학, 우크라 재건사업 수혜 예상"

IBK투자 "롯데정밀화학, 우크라 재건사업 수혜 예상"

관리자
2025.03.12 08:50
美-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美·러 곧 소통…종전협상 분수령(종합2보)

美-우크라 '30일 휴전' 동의, 美·러 곧 소통…종전협상 분수령(종합2보)

관리자
2025.03.12 08:47
37 38 39 40 41
/upload/daad0391badc4e6293463f0184f530e3.webp
/upload/346dde876f0e40029c816e89cae869f1.web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