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일 수출 0.8%↑…일평균 수출액은 6.4% 감소(종합)

반도체·자동차 증가세 견인…미국발 수입액 21% 늘어

(부산=연합뉴스) 강선배 기자 = 14일 오후 부산 강서구 부산항 신항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2024.10.14 sbkang@yna.co.kr
(세종=연합뉴스) 민경락 기자 = 이달 초순 수출이 소폭 증가했지만 일평균 수출액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도체·자동차 등 주력 품목 수출 호조세에도 월간 수출이 지난달 감소세로 전환한 데 이어 이달에도 불안한 모습이다.
11일 관세청에 따르면 이달 1∼10일 수출액은 149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8%(1억2천만 달러) 증가했다.
조업일수를 고려한 일평균 수출액은 21억3천만 달러로 같은 기간 6.4% 감소했다. 이달 1∼10일 조업일수는 7.0일로 작년(6.5일)보다 0.5일 많다.
지난달 월 수출액은 1년 전보다 10.3% 줄면서 15개월째 계속된 증가 행진을 멈췄다. 작년보다 일렀던 설 연휴로 인해 조업일수가 줄어든 점이 영향을 미쳤다.
이달 1∼10일 수출을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8%)·승용차(27.1%) 등에서 증가했다. 반도체 수출 비중은 19.0%로 0.2%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석유제품(-22.3%)·자동차 부품(-27.1%) 등 수출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중국(4.5%)·유럽연합(EU·11.7%)·베트남(20.7%) 등 증가했고 미국(-8.6%)·일본(-22.0%) 등 감소했다.
중국·미국·EU 등 상위 3국 수출 비중은 48.1%였다.
1∼10일 수입액은 171억 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0.3%(5천만 달러) 증가했다.
수입은 반도체(21.8%)·기계류(14.7%) 등에서 증가했고 원유(-19.2%)·가스(-13.7%) 등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미국(21.0%)·EU(10.5%)·일본(30.6%) 등으로부터 수입이 많이 늘었다. 중국(-15.0%)·사우디아라비아(-6.8%) 등은 감소했다.
수입액이 수출액을 웃돌면서 무역수지는 22억3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조익노 산업통상자원부 무역정책관은 "무역수지 적자는 월초에 수입이 집중돼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이라며 "2월 전체적으로는 반도체 호조세 등으로 수출 플러스와 흑자 전환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rock@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2025/02/11 09:13 송고
댓글
조선뉴스

美 기업들 재택근무 축소…사무실 출근 코로나 이후 최고

中 딥시크 영향 없다?…"챗GPT 2월 기준 주간 이용자 4억명"
![[뉴욕유가] WTI 0.4%↑…러 송유관 피격 여파 속 약달러 영향](/upload/ea29dafbeb3748e4bf4687fc3a1402aa.webp?thumbnail)
[뉴욕유가] WTI 0.4%↑…러 송유관 피격 여파 속 약달러 영향

아마존 분기 매출 월마트 처음 제쳤다…美 기업 첫 1위
![[2보] 뉴욕증시, 월마트 실적 전망에 실망감…다우 1%↓](/upload/905df789e96d4b5588e1d8c4f957665b.webp?thumbnail)
[2보] 뉴욕증시, 월마트 실적 전망에 실망감…다우 1%↓

뉴욕증시, 월마트가 시사한 소비심리 악화…다우 1.01%↓ 마감

해외 기관에서 올해 한국 성장률 1.0% 전망까지 나왔다

'저렴한 OTT 계정공유 플랫폼 주의보'…이용정지 피해 급증

韓안방 진출 테무, '주소·전번·문자' 고객 정보 국외이전 확대
[코스피·코스닥 전 거래일(19일) 주요공시]

中, '사실상 기준금리' 4개월연속 동결…1년물 3.1%·5년물 3.6%

트럼프, 테슬라 인도 진출 제동?…"공장 지으면 美에 불공평"

트럼프 관세에 아이폰 가격 오를까…BofA "9% 올려야할듯"

국고채 금리 대체로 하락…3년물 장중 연 2.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