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선물 커뮤니티 : 조선해외선물 커뮤니티.해외선물.안전거래.주식정보

얼마나 안전하기에…미국 전쟁계획 논의된 메신저 '시그널'

관리자
2025.03.26 추천 0 조회수 23 댓글 0

민간에선 보안 최고 수준…"군사기밀 보호 수준엔 미달"

백악관 안보불감…美국방부, 러 해킹 우려에 직원 사용중단 지시

이미지 확대

스마트폰에 설치된 시그널 앱 아이콘

스마트폰에 설치된 시그널 앱 아이콘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핵심인사들이 민간 메신저 '시그널'(Signal)에서 전쟁계획을 비롯한 민감한 사안들을 논의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해당 앱의 보안성이 어떤 수준인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AFP 통신은 25일(현지시간) "시그널은 세계에서 가장 보안성이 뛰어난 인터넷 모바일 메신저로 꼽히지만 백악관 당국자들이 사용할 것을 염두에 두고 고안되지는 않았다"고 평가했다.

2014년 출시된 시그널의 대표적 특징은 모든 메시지에 종단간 암호화(end-to-end encryption·E2EE)가 적용된다는 것이다.

발신자와 수신자만이 서로 공유한 암호키를 활용해 본래의 내용을 볼 수 있기에 해커가 시그널 서버나 인터넷 서비스 업체 등을 공격해 메시지를 중간에서 가로채더라도 어떤 내용이 담겼는지 알기 어렵다.

텔레그램이나 왓츠앱, 애플 아이메시지 등도 같은 기능을 제공하지만, 시그널이 다른 점은 매출 확대를 목표로 하는 기술 대기업이 아니라 독립적 비영리 기구인 시그널 재단의 통제를 받기에 더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AFP는 짚었다.

심지어 시그널은 메시지가 언제, 누구에게 전달됐는지 등의 메타데이터(metadata·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조차 서버 측에서 열람할 수 없도록 하고 있다.

반면 여타 기업들은 이런 부분에서 철저하지 않은 편이다. 예컨대 왓츠앱은 사용자 전화번호와 모바일 기기 정보, IP 주소 등 관련 데이터를 모기업인 메타 및 제3자와 공유한다.

그런 까닭에 취재원 보호를 중시하는 언론인이나 정치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과거 댓글 여론조작 혐의 수사에서 시그널을 통한 대화가 포착되기도 했다.

문제는 국가기밀 등과 관련한 핵심 정보를 논의하기에는 여전히 보안 수준이 턱없이 낮다는 점이다.

마이클 대니얼 전 백악관 사이버안보 조정관은 "시그널은 매우 견고한 플랫폼이지만 결코 군사계획을 논의하는데 쓰이도록 만들어지거나 의도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장 심각한 문제는 앱 자체보다는 주변 환경에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니얼 전 조정관은 "이것(메시지)들이 안전한 방식으로 저장되지 않았거나 적절히 보호되지 않는 개인기기에 있다는 게 더 문제"라고 말했다.

심지어 미국 국방부는 러시아측 해커의 위협을 언급하면서 지난주 소속 직원들에게 시그널을 사용하지 말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휴대전화용 모바일 앱과 노트북 등에 설치된 PC 버전을 연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허점을 노릴 경우 대화 내용이 노출될 수 있다는 이유에서였다.

시그널 개발에 관여했던 존스홉킨스대학 소속 암호 전문가 매슈 그린은 시그널의 보안수준을 '군사등급'으로 높이려면 "많은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시그널을 민감한 정보가 오가는 보물상자로 인식하는 해커들이 늘어나면서 "시그널이 너무 많은 이들로부터 목표물이 되고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시그널은 홈페이지를 통해 "우리는 어떤 기술 대기업과도 연결돼 있지 않으며, 이중 어느 곳에 인수되는 일도 결코 없을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시그널의 개발과 운영 비용은 대부분 보조금과 기부금으로 충당된다.

[email protected]

댓글

조선뉴스

골드만삭스 "글로벌 보험사, 최대 리스크로 인플레이션 꼽아"

골드만삭스 "글로벌 보험사, 최대 리스크로 인플레이션 꼽아"

관리자
2025.03.25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실물이전제 시행후 1조원대 머니무브"

미래에셋증권 "퇴직연금 실물이전제 시행후 1조원대 머니무브"

관리자
2025.03.25
코스피, 강달러·정치 불확실성에 2,610대 하락…자동차주는 강세(종합)

코스피, 강달러·정치 불확실성에 2,610대 하락…자동차주는 강세(종합)

관리자
2025.03.25
"中선박 美 입항료 부과 시 전세계 선박 98%가 수수료 내야"

"中선박 美 입항료 부과 시 전세계 선박 98%가 수수료 내야"

관리자
2025.03.25
미·러, 우크라 휴전 12시간 마라톤 협상…"공동성명 25일 발표"

미·러, 우크라 휴전 12시간 마라톤 협상…"공동성명 25일 발표"

관리자
2025.03.25
천년고찰 고운사, 의성산불 화마에 전소…당국 "전소 확인"(종합)

천년고찰 고운사, 의성산불 화마에 전소…당국 "전소 확인"(종합)

관리자
2025.03.25
'삼성 TV 1위 주역'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별세

'삼성 TV 1위 주역' 한종희 삼성전자 대표이사 부회장 별세

관리자
2025.03.25
정의선 "4년간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이것이 관세효과"(종합2보)

정의선 "4년간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이것이 관세효과"(종합2보)

관리자
2025.03.25
트럼프, 車관세 먼저 발표키로..."상호관세는 유연할 것"

트럼프, 車관세 먼저 발표키로..."상호관세는 유연할 것"

관리자
2025.03.25
美 3월 서비스업 업황 개선…제조업은 위축 전환(상보)

美 3월 서비스업 업황 개선…제조업은 위축 전환(상보)

관리자
2025.03.25
트럼프는 왜 한국에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요구했나[페트로-일렉트로]

트럼프는 왜 한국에 알래스카 LNG 사업 참여를 요구했나[페트로-일렉트로]

관리자
2025.03.24
조태열-왕이 50분 양자회담…서해 갈등 봉합, 한한령 해제 기미(종합)

조태열-왕이 50분 양자회담…서해 갈등 봉합, 한한령 해제 기미(종합)

관리자
2025.03.24
[단독] 이재용, 샤오미 회장 만났다…'미래차 전장' 동맹 맺나

[단독] 이재용, 샤오미 회장 만났다…'미래차 전장' 동맹 맺나

관리자
2025.03.24
[2보] 헌법재판소,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5명 기각의견

[2보] 헌법재판소, 한덕수 총리 탄핵소추 기각…5명 기각의견

관리자
2025.03.24
치솟는 외식물가, 주범은 식재료·인건비

치솟는 외식물가, 주범은 식재료·인건비

관리자
2025.03.24
5 6 7 8 9
/upload/daad0391badc4e6293463f0184f530e3.webp
/upload/346dde876f0e40029c816e89cae869f1.webp